
지난 2월 화이자 측은 문재인정부와의 300만명분의 코로나 백신 추가 물량을 계약할 당시 즈음에 화이자 측은 문재인 정부에 백신을 더 많이 구입하면 더 많은 물량을 조기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제안을 사실상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으로 인한 혈소판 감소와 특이 혈전 생성의 사례를 보면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안하면 물량을 더 구하지 않았다는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하는 정부로서 명백하게 잘못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화이자 백신 구매에 있어서 화이자측의 더많은 백신 물량 제안을 거절하고 300만명분만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보였고 더 구매한다는 의지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난 2월 화이자 백신 추가 공급 물량을 300만명분만 확보 및 구입한 이유를 국민들에게 설명하지 않았다. 더욱이 이날 질병청 관계자 또한 “백신 구입에 있어서의 계약상에 논의 되는 과정을 공개할수 없다”고 말했다.
화이자 측은 백신 추가 확보 이전부터 문정부에게 “필요한 물량을 일찍 알려주면 확보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전달 했고 추가 계약 의사를 밝히면서 왜 300만명분만 계약한 것인지는 국민들에게 밝혀야 할 것이다.
화이자 측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요청에 따라 최대한 협조하고 있다”며 지금으로서는 추가 물량을 국제적 상황을 감안하면 공급량을 신속하게 늘리긴 어려울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화이자 측의 추가물량 계약 당시 “더 많은 백신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하지 않은건 명백한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의 말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혈전문제가 이어졌고 또한 노바백스 백신은 원료 공급에 차질로 인한 2천만명분만 확보 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러한 모든 정황을 살펴보면 여러 종류의 백신을 최대한 확보하는게 합리적인데 반해 추가로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화이자 백신을 300만명분만 확보한 문재인 정부는 그 이유도 밝히지 않고 있다.
선진국들은 2020년도 중순부터 조기구매 확보에 노력을 했지만 문재인 정부는 백신 구매를 서두르지도 않았고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음에도 거절했던 것이다.
지난해 말에는 의료계에서는 앞서 언급한 “혈소판 감소와 특이 혈전 생성”의 여러 가지 리스크를 감안해서 정부 예산을 아끼지말고 더 편성해 “인구의 2~3배의 수준으로 백신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라“고 주문했었다.
하지만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월 국회 긴급 현안 질의에서 “5600만명분이면 부족하지 않다는 게 문재인 정부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여러 백신의 물량을 확보하여 리스크를 감안하는 측면에서 인구의 적정수준보다 더 많이 확보해야 함에도 문재인 정부는 소극적이었고 이로 인해 “아스트라제네카의 혈소판 감소, 특이 혈전 생성”등의 현상과 맞물려 여전히 백신 공급은 불투명한 상태다.